- Contents Delivery Network
이용자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캐시서버를 통하여 컨텐츠를 배포함으로써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
구성[edit | edit source]
- 캐시 서버
- GLB(Global Load Balancer)
- SLB(Server Load Balancer)
- CLB(Content Load Balancer)
- 모니터링/관리 시스템
기술 요소[edit | edit source]
- 캐싱
- 로드 밸런싱
- 라우팅
- 스트리밍
동작[edit | edit source]
- Caching Pull: CDN에서 캐시 미스 발생 시 컨텐츠 요청
- Caching Push: 서버에서 CDN으로 컨텐츠 전달
캐싱 방식 분류[edit | edit source]
분류 | 설명 |
---|---|
Static Caching |
|
Dynamic Caching |
|
서버 배치 방식[edit | edit source]
- Enter Deep:
- 이 방식은 CDN 서버를 접근 네트워크 내에, 사용자와 가까운 곳에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. (예: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의 네트워크 내). 이를 통해 콘텐츠와 최종 사용자 간의 거리를 줄여, 콘텐츠 전송 속도를 높이고 지연 시간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.
- 아카마이(Akamai)에서 처음 도입한 방식이고[1], 현재 더 트렌디한 방식으로 인식된다.
- Bring Home:
- 이 전략은 CDN 서버를 소수의 주요 위치, 대형 중앙 데이터 센터에 배치한다. (주로 주요 인터넷 교환 지점에). 상대적으로 적은 서버 수를 유지하면서 관리하는 비용을 줄이면서도 , 고속 백본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여전히 빠른 콘텐츠 전송을 제공한다.
- 아카마이 이전 대부분의 CDN에서 사용하던 방식이고, 아직까지도 널리 사용된다.
각주[edit | edit source]
- ↑ 기존에도 연구자료 등으로 존재했던 방식이고 더 빠르게 도입한 다른 업체들이 있을 수 있지만 아카마이가 이 방식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