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빙랩

From CS Wiki
Living Lab
사용자와 시민들이 실제로 생활하는(living) 공간에서 연구를 진행하는 실험실(lab)
  • 기술을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시민들이 전문가와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대안을 탐색·실험하는 참여형·개방형 공간
  • 죽음의 계곡(death valley)이라고 불리는 기술사업화 과정의 갖가지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공공·민간·시민의 힘을 합쳐 운영하는 조직 또는 활동

개요[edit | edit source]

  • (과학/사회/현장 통합 모델) 삶의 질, 환경, 안전 등의 다양한 사회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 통합
  • (사용자 주도형 혁신 플랫폼) 사용자들이 연구혁신의 대상이 아닌 연구혁신의 주체로 기능
  • (공공/민간/시민의 협력체계) 사용자 주도 개방 혁신을 가능케하는 파트너십 및 상호작용 강조

기존 접근법과의 차이[edit | edit source]

  • AS-IS: 세탁기를 어떻게 개선할까?
  • TO-BE: 옷을 어떻게 깨끗하게 입을까?
    • ex) 코인 세탁방, 공기 세탁, 세탁이 필요 없는 옷, 세탁 서비스

역사[edit | edit source]

  • 2004년 미국 MIT 미디어랩의 윌리엄 미첼(William Michell) 교수가 처음으로 제안

특징[edit | edit source]

  • (과학기술과 ICT): 수요자, 산학연, 경험등이 과학기술과 ICT 기반 연계
  • (민관 파트너십): 공공(Public), 민간(Private), 시민(People) 3P 협력체계
  • (개방형 혁신): 추진 주체 간 파트너십 강조, 시너지 창출
  • (수요자 참여): 아이디어 발굴 및 R&D 전주기에 수요자가 참여 및 주도

사례[edit | edit source]

  • 야간 작업용 발광 키트(한양대학교, 2017)
    • 야간 작업자의 사고 예방을 위한 자가 발전 기술 기반 융합형 안전장비 제작 및 실증
    • 실제 야간 작업자와의 협력을 통한 수요 기반 제품 개발 및 실증 수행
  • 대전 소프트타운 활성화 사업(대전시, 2017)
    • 대전형 SW 융합 리빙랩 프로젝트
    • 다세대 주택의 쓰레기 배출 문제를 안내용 App 배포를 통해 해결
  • 장성형 안심케어 IoT@엄니 어디가(전라남도 장성군, 2018)
    • 고령인구 증가 및 치매환자 문제 해결을 위한 리빙랩 운영
    • 주민들의 Needs를 기반으로 온습도 조절, 화재감지, 위치파악, 심박체크 등의 기능을 갖춘 모듈박스 개발
  • 공감e가득(행정안전부, 2018)
    • 주민 주도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지역의 문제를 발굴하고, 해결하도록 지원하는 리빙랩 시범 사업
    • 온라인 주민 참여 플랫폼, 저출산 및 고령화 대응, 장애인 권리보호, 안전 및 환경 개선, 공동체 지원
  • 폴리스랩(경찰청, 2018~2020)
    • 국민 수요 기반으로 스마트 치안을 위한 최첨단 장비 개발
    • 과기정통부, ETRI, KIST, 서울대, 민간 기업 등 참여

절차[edit | edit source]

절차 내용
운영 기획
  • 문제를 구체화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탐색
  • 추진체제를 설계하고 참여할 사용자 그룹을 선정
  • 운영 및 설치 장소 선정
대안 탐색
  • 풀어야 할 문제에 대한 최종 사용자들의 반응 분석
  • 최종 사용자와 논의하고 니즈 구체화
  • 문제 원인 분석 및 혁신적인 제품, 서비스 설계
대안 실험
  • 아이디어를 프로토타입으로 개발
  • 리빙랩 운영 장소에서 참여자 대상 실험
대안 평가
  • 프로토타입에 대한 사용자 반응 분석
  • 참여 관찰, 참여자 만족도 조사, 디자인 싱킹
현장 적용
  • 제도 개선, 인증 및 표준 문제 검토
  • 완제품 개발 및 현장 적용, 사업화 모색

분류[edit | edit source]

주체에 따른 분류[edit | edit source]

  • 연구기관 주도형
  • 지자체 주도형
  • 시민사회 주도형
  • 기업 주도형

추진방식에 따른 분류[edit | edit source]

  • 프로젝트형: R&D 사업이나 정책 사업의 세부 과제로 진행되는 리빙랩
  • 플랫폼형: 리빙랩 운영 경험과 노하우, 시설, 축적된 사용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타 기관에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

R&D 여부에 따른 분류[edit | edit source]

  • R&D형: 과학기술 전문기관과 사용자가 중심이 되어 R&D를 실용화하고 사회적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운영하는 리빙랩
  • 비R&D형: 시민사회조직과 지자체, 사회혁신조직, 사용자가 중심이 되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리빙랩

필요성[edit | edit source]

  •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혁신 구현
  • 새로운 기술과 시장을 만들어 가는 선도형 기술개발
  • 현장기반 지역혁신 모델 구현
  • 참여형 과학기술교육과 과학문화를 확산
  • 기술 사업화에 새로운 모델 제시

같이 보기[edit | edit source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