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oT: Difference between revisions

From CS Wiki
(새 문서: ;Internet of Things ;사물인터넷; 사물인터넷 파일:사물인터넷 발전.png == IoT 보안 위협 == {| class="wikitable" |- ! 표 제목 !! 표 제목 !! 표 제목...)
 
 
(13 intermediate revisions by 4 users not shown)
Line 1: Line 1:
[[분류:디지털 서비스]][[분류:네트워크]][[분류:통신]]
;Internet of Things
;Internet of Things
;사물인터넷; 사물인터넷
;사물인터넷; 사물 인터넷
;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


[[파일:사물인터넷 발전.png]]
[[파일:사물인터넷 발전.png]]
== [[IoT 프로토콜|주요 IoT 프로토콜]] ==
IoT는 일반적인 TCP/IP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저전력, 저발열, 소형화 등의 목적으로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. 주로 알려진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다.
# '''[[MQTT|MQTT (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)]]''': 제한된 대역폭을 사용하는 IoT 장치에 적합한 경량의 퍼블리시-서브스크라이브 방식의 프로토콜이다. 센서와 같은 리소스가 부족한 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.
# '''[[CoAP|CoAP (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)]]''': 간단한 IoT 장치를 위해 설계된 웹 전송 프로토콜로, UDP를 기반으로 하여 가볍고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한다.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에너지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된다.
# '''[[지그비|Zigbee]]''': 저전력,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, 홈 자동화, 조명 제어, 보안 시스템과 같은 IoT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된다. Mesh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장치 간 연결성을 높인다.
# '''[[LoRaWAN|LoRaWAN (Long Range Wide Area Network)]]''': 장거리, 저전력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, 스마트 시티, 농업 및 환경 모니터링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된다. 넓은 지역에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�.
# '''[[저전력 블루투스 기술|Bluetooth Low Energy (BLE)]]''': 기존 블루투스의 저전력 버전으로, 웨어러블 기기나 의료 기기에서 주로 사용된다. 저전력 소비와 짧은 거리에서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특징이다.


== IoT 보안 위협 ==
== IoT 보안 위협 ==
* 최소한의 프로세싱 성능과 메모리로 운영해야 하므로 보안 솔루션 탑재가 어려운 경우가 많음
* 관심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 의식이 낮음
=== 보안 위협 예시 ===
{| class="wikitable"
{| class="wikitable"
|-
|-
! 표 제목 !! 표 제목 !! 표 제목 !! 표 제목
! 유형  !! 주요 제품 !! 주요 보안 위협 !! 보안 위협 원인
|-
|-
| 유형 || 주요 제품 || 주요 보안 위협|| 보안 위협 원인
| 멀티미디어 || 스마트 TV,  
|-
스마트 냉장고 등  
| 멀티미디어 || 스마트 TV, 스마트 냉장고 등 ||  
||  
* PC 환경에서의 모든 악용 행위
* PC 환경에서의 모든 악용 행위
* 카메라/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  
* 카메라/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  
Line 20: Line 35: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|-
|-
| 생활가전 || 청소기, 인공지능 로봇 등 ||  
| 생활가전 || 로봇 청소기,
인공지능 로봇 등  
||  
* 알려진 운영체제 취약점 및 인터넷 기반 해킹 위협
* 알려진 운영체제 취약점 및 인터넷 기반 해킹 위협
* 로봇 청소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한 사생활 침해
* 로봇 청소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한 사생활 침해
Line 28: Line 45: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|-
|-
| 네트워크 ||  
| 네트워크 || 홈캠, 웹캠
홈캠, 네트워크 카메라 등 ||  
네트워크 카메라 등  
||  
* 무선신호 교란, 정보유출, 데이터 위변조, 서비스 거부
* 무선신호 교란, 정보유출, 데이터 위변조, 서비스 거부
* 사진 및 동영상의 외부 유출로 사생활 침해
* 사진 및 동영상의 외부 유출로 사생활 침해
Line 39: Line 57:
|rowspan="2"|
|rowspan="2"|
제어  
제어  
|| 디지털 도어락,
가스밸브 등
||  
||  
디지털 도어락, 가스밸브 등 ||
제어기능 탈취로 도어락 임의 개폐
제어기능 탈취로 도어락 임의 개폐
||  
||  
Line 49: Line 68:
|-
|-
|  
|  
모바일 앱(웹) 등 앱(웹) ||  
모바일 앱(웹) 등  
* 소스코드 노출로 IoT 기능 탈취
||  
소스코드 노출로 IoT 기능 탈취
||  
||  
* 인증정보 평문 저장
* 인증정보 평문 저장
Line 58: Line 78:
센서  
센서  
||  
||  
온/습도 센서 등 잘못된 또는 위변조된 온/습도 정보 전송 ||
온/습도 센서 등  
||  
||  
잘못된 또는 위변조된 온/습도 정보 전송
||
*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
*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
* 데이터 무결성 부재
* 데이터 무결성 부재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* 물리적 보안 취약점
|}
|}<ref>한국인터넷진흥원, 홈·가전 IoT 보안가이드, 2017. 7.</ref>
 
=== 보안 7대 원칙 ===
{| class="wikitable"
|-
! 원칙 !! 내용
|-
| 설계 보안 || 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/서비스 설계
- “Security by Design” 및 “Privacy by Design” 기본 원칙 준수
|-
| 개발 보안 || 안전한 SW, HW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
- 시큐어 코딩, 소프트웨어, 애플리케이션 보안성 검증 및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
|-
| 초기 설정 보안 ||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
- “Secure by Default” 기본 원칙 준수
|-
| 프로토콜 보안 ||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
- 통신 및 플랫폼에서 검증된 보안 프로토콜 사용(암호/인증/인가 기술)
|-
| 보안 패치 || IoT 제품/서비스의 취약점 보안 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
- S/W와 H/W의 보안 취약점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 지속 수행
|-
| 프라이버시 보호 || 안전한 운영/관리를 위한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 체계 마련
- 사용자 정보 취득-사용-폐기의 전주기 정보의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
|-
| 대응체계 마련 || IoT 침해 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
- 보안 사고에 대비한 침입탐지와 사고 시 분석 및 책임 추적성 화보
|}<ref>미래창조과학부, “사물인터넷(IOT) 정보보호 로드맵”, 2014.</ref>
 
== 각주 ==

Latest revision as of 20:37, 17 September 2024

Internet of Things
사물인터넷; 사물 인터넷
각종 사물에 컴퓨터 칩과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술

사물인터넷 발전.png

주요 IoT 프로토콜[edit | edit source]

IoT는 일반적인 TCP/IP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저전력, 저발열, 소형화 등의 목적으로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도 흔히 있다. 주로 알려진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다.

  1. MQTT (Message Queuing Telemetry Transport): 제한된 대역폭을 사용하는 IoT 장치에 적합한 경량의 퍼블리시-서브스크라이브 방식의 프로토콜이다. 센서와 같은 리소스가 부족한 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.
  2. CoAP (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): 간단한 IoT 장치를 위해 설계된 웹 전송 프로토콜로, UDP를 기반으로 하여 가볍고 효율적인 통신을 지원한다. 스마트 홈이나 스마트 에너지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된다.
  3. Zigbee: 저전력, 근거리 무선 통신 프로토콜로, 홈 자동화, 조명 제어, 보안 시스템과 같은 IoT 응용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된다. Mesh 네트워크 기능을 통해 장치 간 연결성을 높인다.
  4. LoRaWAN (Long Range Wide Area Network): 장거리, 저전력 통신을 지원하는 프로토콜로, 스마트 시티, 농업 및 환경 모니터링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된다. 넓은 지역에서 센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�.
  5. Bluetooth Low Energy (BLE): 기존 블루투스의 저전력 버전으로, 웨어러블 기기나 의료 기기에서 주로 사용된다. 저전력 소비와 짧은 거리에서의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이 특징이다.

IoT 보안 위협[edit | edit source]

  • 최소한의 프로세싱 성능과 메모리로 운영해야 하므로 보안 솔루션 탑재가 어려운 경우가 많음
  • 관심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으나 보안 의식이 낮음

보안 위협 예시[edit | edit source]

유형 주요 제품 주요 보안 위협 보안 위협 원인
멀티미디어 스마트 TV,

스마트 냉장고 등

  • PC 환경에서의 모든 악용 행위
  • 카메라/마이크 내장 시 사생활 침해
  • 인증 매카니즘 부재
  • 강도가 약한 비밀번호
  • 펌 업데이트 취약점
  • 물리적 보안 취약점
생활가전 로봇 청소기,

인공지능 로봇 등

  • 알려진 운영체제 취약점 및 인터넷 기반 해킹 위협
  • 로봇 청소기에 내장된 카메라에 의한 사생활 침해
  • 인증 매카니즘 부재
  • 펌 업데이트 취약점
  • 물리적 보안 취약점
네트워크 홈캠, 웹캠

네트워크 카메라 등

  • 무선신호 교란, 정보유출, 데이터 위변조, 서비스 거부
  • 사진 및 동영상의 외부 유출로 사생활 침해
  • 접근통제 부재
  •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
  • 물리적 보안 취약점

제어

디지털 도어락,

가스밸브 등

제어기능 탈취로 도어락 임의 개폐

  • 인증 매카니즘 부재
  • 강도가 약한 비밀번호
  • 접근 통제 부재
  • 물리적 보안 취약점

모바일 앱(웹) 등

소스코드 노출로 IoT 기능 탈취

  • 인증정보 평문 저장
  •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

센서

온/습도 센서 등

잘못된 또는 위변조된 온/습도 정보 전송

  • 전송 데이터 보호 부재
  • 데이터 무결성 부재
  • 물리적 보안 취약점

[1]

보안 7대 원칙[edit | edit source]

원칙 내용
설계 보안 정보보호와 프라이버시 강화를 고려한 IoT 제품/서비스 설계

- “Security by Design” 및 “Privacy by Design” 기본 원칙 준수

개발 보안 안전한 SW, HW 개발 기술 적용 및 검증

- 시큐어 코딩, 소프트웨어, 애플리케이션 보안성 검증 및 시큐어 하드웨어 장치 활용

초기 설정 보안 안전한 초기 보안 설정 방안 제공

- “Secure by Default” 기본 원칙 준수

프로토콜 보안 보안 프로토콜 준수 및 안전한 파라미터 설정

- 통신 및 플랫폼에서 검증된 보안 프로토콜 사용(암호/인증/인가 기술)

보안 패치 IoT 제품/서비스의 취약점 보안 패치 및 업데이트 지속 이행

- S/W와 H/W의 보안 취약점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업데이트 지속 수행

프라이버시 보호 안전한 운영/관리를 위한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 체계 마련

- 사용자 정보 취득-사용-폐기의 전주기 정보의 보호 및 프라이버시 관리

대응체계 마련 IoT 침해 사고 대응체계 및 책임 추적성 확보 방안 마련

- 보안 사고에 대비한 침입탐지와 사고 시 분석 및 책임 추적성 화보

[2]

각주[edit | edit source]

  1. 한국인터넷진흥원, 홈·가전 IoT 보안가이드, 2017. 7.
  2. 미래창조과학부, “사물인터넷(IOT) 정보보호 로드맵”, 2014.